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6/9 일본 에너지 동향
    Japan Energy 2023. 6. 9. 08:11

    수소 기본전략 개정안 확정 

    (https://www.meti.go.jp/shingikai/enecho/shoene_shinene/suiso_seisaku/20230606_report.html)

     

    総合資源エネルギー調査会 省エネルギー・新エネルギー分科会 水素政策小委員会/資源・燃料

     

    www.meti.go.jp

    ※ 활용하시는 것은 자유이나, 활용시 출처 표기 및 댓글 알림 부탁드립니다!

    ※ 오탈자 및 내용 수정요청, 일본 에너지 시장에 관련된 문의사항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

     

    정부는 6월 6일 재생가능에너지·수소 등 관계 각료회의를 개최해 수소사회 실현을 위한 지침 '수소기본전략'을 6년 만에 개정하여 확정 발표하였습니다. 본격적인 상업 이용을 위한 공급망 추진을 위해 향후 15년간 민관 합동으로 15조엔을 투자할 계획이며, 2040년 수소 공급량을 현재 200만 톤에서 6배가 되는 1200만 톤 정도로 확대하는 내역 등이 담겨있습니다.


    수소 기본 전략에서는 안정적이고 저렴하고 저탄소 수소·암모니아 공급을 향해 안정적인 공급·공급 비용 절감·저탄소 수소로의 이행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특히, 수입을 위주로 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2030년에 최대 300만 톤, 2050년에 2000만 톤 정도가 되고 있는 기존 목표 내 2040년 1200만 톤의 도입목표를 추가하였습니다. 아울러, 비용 경쟁력의 측면에서 수소(`30년 30엔/Nm3, `50년 20엔/Nm3) 및 암모니아 (`30년 10엔 후반/Nm3)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기술경쟁력의 측면에서는 수소제조기반 확립, 저탄소 수소확대를 위한 규제, CCUS/카본 리사이클링으로 구분된 전략을 이행할 계획입니다. 수소 제조에 있어서, 재에너지로부터 수소 제조가 가능한 「수전해 장치」의 수요는, 향후도 계속 증가할 전망이며, 세계의 수전해 장치의 도입량은 2030년에는 134GW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국내외에서 일본 관련 기업(부소재 메이커 포함)의 수전해 장치의 도입 목표를 15GW 정도로 새롭게 설정해 수소 제조 기반의 확립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또한 저탄소 수소 구매를 위해 인센티브가 있는 시장 설계가 추진될 예정이며, 저탄소 수소 공급에 대한 규제 유도 조치 등  저탄소 수소가 적정한 가격으로 거래되는 환경 정비로서, 수요측이 저탄소 수소에 일정 정도의 코스트를 지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장 구조를 채택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저탄소 수소의 제조를 위해 이산화탄소를 자원화하는 CCUS/카본리사이클링을 `30년까지 600만~1200만톤 수준으로 확보할 예정입니다.

     

    일본의 수소 기본전략은 수소공급, 탈탄소형 발전, 연료전지, 수소의 직접이용, 암모니아 등 수소 화합물의 이용을 핵심적인 이행전략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향후 각 구성내역 별 세부 사항은 차차 공표될 것으로 보입니다.

    'Japan E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3 일본 에너지 동향  (0) 2023.06.13
    6/12 일본 에너지 동향  (0) 2023.06.12
    6/8 일본 에너지 동향  (0) 2023.06.08
    6/7 일본 에너지 동향  (0) 2023.06.07
    6/5 일본 에너지 동향  (0) 2023.06.05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