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7 일본 에너지 동향 - 수소 & e-fuelJapan Energy 2023. 7. 7. 09:31
e-fuel 보급 촉진을 위한 일본 민관합동 협의회 논의내역 요약
(합성 연료 도입 촉진을 위한 민관 협의회(METI))
合成燃料(e-fuel)の導入促進に向けた官民協議会 (METI/経済産業省)
お問合せ先 資源エネルギー庁 資源・燃料部 石油精製備蓄課 電話:03-3501-1993 FAX:03-3580-8467 最終更新日:2023年6月30日
www.meti.go.jp
일본에서는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e-fuel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현재까지 논의되고 있는 e-fuel 상용화 로드맵 및 쟁점사항, 향후 과제 등에 대해 요약하여 전달드립니다.
e-fuel은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합성하여 제조하는 인공연료입니다. 기존 내연기관과 연료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어 제반 인프라 조성에 대한 부담이 덜하고, 화석연료와 동등한 에너지 밀도를 지닌다는 점에서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현재 리터 당 300~700엔 수준의 생산단가를 지니고 있어 가격 경쟁력은 부재한 상황입니다.
- 해외에서 전량 제조 후 수입 시 : 리터 당 300엔
- 원료조달~제조까지 일본 내 수행 시 : 리터 당 700엔
- 수소 수입 후 일본 내 제조 시 : 리터 당 350엔
당초 e-fuel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적인 이행방안으로, 그린 이노베이션 기금(GI기금) 등을 통해 고효율 대규모 제조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이를 통해 생산단가를 낮춰 2040년까지 상용화하고자 하는 방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e-fuel의 사용화에는 기술 및 가격 측면의 논의 외에 관련 이해관계 및 생태계 전반에 대한 논의도 요구되므로, 민관협의체가 결성되기에 이르렀습니다. 민관협의회는 하위에 상용화 추진 워킹그룹 및 환경정비 워킹그룹이 속해있으며, e-fuel 생태계 조성 전반에 대한 검토를 수행합니다.
현재 기존의 목표가 1) 실제 상용화 시점 및 정부안과의 차이 발생, 2) 스타트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적극 고려한 혁신 체계의 미비, 3) e-fuel의 국제적인 인지와 환경가치 취급에 대한 합의가 부족, 4) 정보 공유 플랫폼이 불충분 등의 이슈가 존재하여 이에 대한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로드맵은 GI 기금의 적극적인 투입 및 설비투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아래와 같이 수정되었습니다. 구성하고 있는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GI 기금을 통한 고효율 대규모 합성연료 제조기술을 개발중이며, 2040년까지의 상용화 목표를 2030년대로 단축할 계획입니다.
2. NEDO 교부금 프로젝트를 통한 신규 합성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3. 조기 사용화를 위해, 기존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e-fuel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BM 확립 및 비용 저감을 위해 설비투자, 기술 실증 등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수행하고자 하며, 국제 프로젝트에 대한 선행투자를 지원하여 일본 내 프로젝트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합니다. 또한, 이러한 지원은 JOGMEC 등을 통한 FS, 출자, 채무보증 등으로 수행될 계획입니다.
4. 또한, 기존 인프라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연료로서의 품질과 내연기관과의 호환 가능성을 검토할 계획을 지니고 있습니다. e-fuel은 현재 높은 단가를 지니고 있으므로, 향후 어떻게 유통시킬지에 대해 검토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e-fuel을 활용한 내연기관 실증이나, BM 구축 등이 포함됩니다.
5. 이 외 해외 네트워크 구축 등의 조성 및 정보플랫폼 구성이 계획 내 존재합니다.
향후 e-fuel에 대한 협의체는 공급량 목표의 설정과 이를 담보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의 검토, e-fuel 사용화까지의 이행기에 활용할 바이오 연료에 대한 검토, 미-독과의 협의, e-fuel 원료 조달 및 확보에 대한 검토 및 대중 인지도 확산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며, 수소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는 한국 또한 참고할만한 여지가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Japan E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2 일본 에너지 동향 - 모빌리티 (0) 2023.07.12 7/10 일본 에너지 동향 - 전력시장 (0) 2023.07.10 7/5 일본 에너지 동향 - 수소 및 암모니아 (0) 2023.07.05 7/3 일본 에너지 동향 - 해상풍력 (0) 2023.07.03 6/30 일본 에너지 동향 - 경산성 조직개편 및 도쿄도 보조금 지원 (0) 2023.06.30